1.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 재무보고

 - 기업에 관한 모든 재무적인 정보를 외부의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것

 - 기업회계기준에 근거한 기본 재무제표와 부속명세서의 작성 

 - 재무보고에 포함되늰 내용은 주로 회계적 정보. 한국거래소를 통한 기업공시. 감독원에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영업보고서, 결산서 등

 #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 재무상태표(자산, 부채, 자본) 

  * 자산 :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에 의해 지배되고,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미래에 직, 간접적으로 기업실체의 미래현금흐름창출에 기여하는 잠재력이 있어야 함.)

  * 부채 : 과거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체가 부담하고 그 이행에 자원의 유출이 예상되는 의무. 부채를 확정뿐만 아니라, 추정에 의해 부채를 계상할 수 있음

  * 자본 : 기업실체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액 또는 순자산으로서 자산에 대한 잔여 청구권 (자산 - 부채) 

    (당해 기업 주식의 시가총액이나 기업순자산의 처분가액과 일치하지는 않음)

 - 손익계산서(비용, 차익/차손, 수익) 

  * 수익 : 주요 경영활동으로서의 재화의 생산, 판매, 용역의 제공에 따른 경제적 효익의 유입

  * 비용 : 기업의 주요 경영활동과 관련하여 발생된 경제적 효익의 유출, 자산의 감소, 부채의 증가 및 그결과에 따른 자본의 감소

  * 차익/차손 : 주요경영활동 이외의 부수적인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발생한 항목 (ex. 화재사고에 의해 보험차익 발생)


2. 재무제표에 대한 기본적 이해

 # 재무제표의 종류

 - 재무상태표 : 회사의 자금이 어떻게 조달되었고 현재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 차변(자산 : 조달된 자금이 현재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가?) 

  * 대변(부채,자본 : 회사운영에 필요한 자금이 외부로부터 어떻게 조달되었는가?) 

  * 자산 = 부채 + 자본 = 채권자지분 + 주주지분 = 지분

 - 손익계산서 : 일정기간동안 회사에서 어느정도의 이익을 벌었는지, 경영성적을 보여주는 재무제표

  * 이익(손실) = 수익 - 비용

 - 자본변동표 : 자본의 크기와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

  *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등이 어떠한 이유로 증감되었는지 표시. 

 - 현금흐름표 : 손익계산서는 회사의 현금흐름액과 일치하지 않음. 기업의 존속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점 커짐에 따라 최근 재무제표중에서도 현금흐름표를 가장 중시.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재무제표에 해당 x, 주주에 대한 이익분배 내용을 담음. 상법에서는 주주총회에서 주주로부터 승인받아야할 재무보고서로 규정.

 - 주석 : 재무제표의 뒷부분에 설명식으로 기술. 재무제표의 일부


3. 재무제표 및 주요명세서의 상호연관성 

 # 재무제표 및 주요명세서의 상호연관성 

 - 손익계산서 ↔ 제조원가명세서 : 제조원가명세서는 당기중에 생산하 제품의 제조원가를 그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나타낸 것.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재고액 + 당기총제조비용 - 기말재공품재고액

  * 매출원가 = 기초제품재고액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말제품재고액

 - 손익계산서 ↔ 재무상태표 : 당기순이익은 영업활동의 성과로서 그만큼 자기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재무상태표의 자기자본으로 대체됨.

 - 현금흐름표 ↔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표상의 자산, 부채, 자본의 변화는 대부분 기업의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계정의 변화액을 통해 투자와 재무활동에 의한 현금유입 및 유출액을 파악하게 됨


4. 회계의 주요기준

 # 보수주의 : 기업의 이익을 가급적이면 적게 표시하는 회계 관행

  * 기업환경에 내재하고 있는 장래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회피. 기업의 이익이 크면 클수록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액, 법인세금액이 높아짐. 기업자산이 고스란히 사외로 유출되는 것. 자산은 낮게. 부채는 크게. 비용은 많이. 수익은 적게.

  ex) 인플레이션시 재고자산을 후입선출법으로 평가. 예상되는 장래의 채무를 당기 손실에 반영.

 # 중요성 : 회계처리과정에서의 실용성 강조.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도여부에따라 과목과 금액을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

 # 분식회계 : 부정에 의한 고의적인 재무정보의 왜곡표시. 자산을 과대계상하고, 부채를 은폐하여 축소하거나 이익을 과대상계하는 것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