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올 3분기 실적

3분기 실적은 2분기때와 마찬가지로 전년 대비해서는 부진하다. 

- 3분기 누적 기준 전년대비 매출액 -10%, 영업이익 -5%, 당기순이익 -1.1%

작년 대비해서 부진한 이유는 크게 2가지

 

1) 다나와컴퓨터 2020년 코로나 수혜의 Base Effect

  - 다나와컴퓨터 영업이익이 20년에 코로나 덕에 급 상승했고, 그 추세를 21년에 이어가지 못한 탓으로 해석된다. 

  - 17~19년 대비 20년 영업이익이 약 45억 정도 상승했지만, 21년은 그렇지 못함

2) PC 부품가격 상승에 따른 판매수수료 사업의 부진

  - 우선 판매수수료는 다나와 마켓플레이스에 컴퓨터 전문 판매점들이 입점하여 소비자에게 PC를 판매하고 판매가 완료되었을 대 판매수수료를 다나와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매출이 나오는데 그 부분이 줄어들었다. 

출처 : 다나와 사업보고서

  - PC 부품가격이 상승한 것은 많이들 아는 내용일텐데, 어쨌든 이로 인해 중소 PC업계가 신제품 출시를 포기하기도 하고, 매출이 많이 안나오니 그에 따른 판매수수료 매출도 감소했다고 판단된다. (https://m.etnews.com/20211018000203

 => 우선 올해 4분기도 비슷한 실적을 보일거라 예상됨 (전년 영익/ 당기순이익을 넘진 못할 것) 

2. 앞으로는? 22년 실적은?

다나와를 꾸준히 팔로업해주는 정홍식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22년은 21년보다 좋을 것이라 하며, 그에 대한 이유는 크게 3가지이다. 

1) 본질인 '트래픽'이 꾸준히 상승중이다

  - 이부분에 대해서는 3분기 사업보고서를 보면 과거보다 상승폭이 줄었고, 페이지뷰나 체류시간은 더 줄었음이 확인되어서, 이부분이 긍정적이라고 느껴지진 않는다. 

2) 코로나로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진다

3) 내년 PC부품 하락 가능성이 있어 판매수수료 성장이 기대된다. 

  - 이부분도 여러 자료를 검색해보면 PC 부품이 하락할거라는 자료가 많진 않았다.

3. 내 생각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다나와의 불확실성(매각은 어떻게되나, PC부품의 가격은 과연 낮아질것인가?, 트래픽은 그렇게 많이 상승하고 있지 않다), 앞으로의 성장에 대한 트리거가 미약해서(다나와보다 더 좋은 기업이 많을거라 생각), 추가매입은 하지 않을 계획이고, 매각 완료까지는 들고 있는 주식을 Hold할 예정이다. 

728x90

동국제약은 최근에 계속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2분기 실적상 OTC 영업이익 하락이 있었다. (코로나 또는 인사돌 가격인상에 대한 기저효과)

물론 요근래 장이 좋진 않지만,, 

9월 초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애널리스트 리포트가 있어서 한번 살펴보았다.

 

동국제약.. 주가 하락중 

동국제약을 분석했을 때의 투자 포인트는,

안정적인 OTC 매출을 기반으로 ETC와 헬스케어 등의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역성장이 없다는 점이었다. 

펀더멘털도 우수하고, OTC 외 분야의 매출 성장률도 꽤나 돋보였었다. 

 

우선 리포트의 결론은 하반기는 별로고, 22년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하반기 이익감소는 "연결대상 자회사 동국생명과학 공장이전에 따른 비용 발생"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동국생명과학은 국내 M/S 1위의 조영제 생산 및 의료기기 판매회사인데, 조영제 완제공장 목적으로 인수한 바이엘의 안성 공장의 생산시설을 이전하고, 조영제 완제품 생산 허가와 관련된 비용이 21년 2~4분기에 발생이 있다고 한다. 

일시적 비용이기 때문에 그 이후의 분기에 조영제 생산시설 효율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확대되고,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이 오를 거라고 이야기 한다.

 

아래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의 증가에 비해 매출원가나 판관비가 더 큰 증가가 있었어서 영업이익의 정체가 있던 것으로, 

1회성 비용이 사라지면 이익 회복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동국제약 IR자료 

 

 

단기적인 Trigger가 없기도 하고, 자회사 비용이슈뿐 아니라, 마진율 높은 OTC의 이익 역성장도 하나의 저평가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투자아이디어가 없어진 건 아니라 생각한다. 

어쨌든 공장이전은 1회성 비용이고, 이 회사는 최근 10년간 매출의 역성장이 없었던 기업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게 좋을 것 같다. 

동국제약 매출액 추이 -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728x90

시디즈 관련해서는 이베스트 정홍식 애널리스트가 종종 리포트를 내주신다. 

8월 초에 21.2분기 실적 관련 리포트를 내었고, 

 

대략적인 내용은 

- 비용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고, 온라인 비중이 확대되면서 고성장이 진행되었고, 

- 2분기 이후에도 매출이 안정적으로 증가되겠지만, 작년에 코로나 영향으로 수익성 높은 온라인 부문 급증에 의한 OPM 상승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영업이익의 추가적인 성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온라인쇼핑동향 가구부문 :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실제 위 표로만 봐도, 21년의 온라인 가구성장률은 +이긴 하지만, 약간 둔화되어있다.

 

- 추가적으로 동남아와 북미지역 중심으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 관련 내용이 언급되어있다. 

북미같은 경우는, 예전부터 아마존을 통해 수출을 하고 있는데 이 규모가 좀 더 확대되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고, 

동남아는 베트남 생산공장(생산허가 진행 후 생산활동 시작 예정)을 기반으로 물량이 확대될 계획이라고 한다. 

 

수출 관련해서는 비중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아마존 사이트에서 홈 오피스용 의자 브랜드는 아래처럼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다. SIDIZ도 포함되어있긴 한데, 

어떤 전략으로 수출 Q를 더 늘릴 예정인지는 궁금해진다. 

 

부채비율이 높긴 하지만, ROE가 높아 자본을 효율적으로 굴리고 있고, PER는 7초반대로 유지되고 있는 회사이다. 

주가를 위로 끌어올릴만한 단기 trigger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꾸준히, 안정적으로 매출을 내는 좋은 기업이라 생각한다. 

728x90

지난번 분기 실적 팔로업 하면서 궁금한 점들이 생겼고, KINX 주식담당자에게 문의를 해보았다. 

처음 전화해봤는데, 생각보다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주셔서 기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다. :) 

 

거의 한 20분 가량 통화를 했는데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Q1.

- 2분기 매출은 늘고 영업이익 증가는 없었다. 매출원가 쪽에서 '외주, 유지보수비' 증가가 크던데, 구체적으로 어떤 비용인건지 궁금하다. 

또한 시계열 추세로 매출액대비 매출원가 비중이 늘고있는데, IX 축소 및 IDC 확장에 따른 필연적 결과인지 궁금하다. 

A1.

- 연결 재무제표에서 29억 정도는 자회사에서, 자회사 고객 요청에 따라 일시적으로 장비 전산자원을 대신 사다 납품해준 부분이고, 

해당 매출같은 경우는 마진이 거의 없어서 그렇게 보일 수 있다.

- 또한, 작년 3분기부터 IX 고객이 한 곳 축소되면서 분기 4~5억 매출 하락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때 대비 2억 정도 올라왔다. 3억정도 차이가 나는데, 그런 부분들로 인해 매출 원가에서 1%p 정도 증가하는것으로 분석을 했고, 그 영향도 약간 있긴 하다. 

 

Q2. 

- IX 비중 줄어드는게 필연적이라 이해하는데, 매출이 다시 조금 올라온게, 그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지?

A2. 

- 한동안은 그럴 것. 올해 내에는 이런 상태가 유지될 것이고, 특별한 상황이 생기면, 연락 주시면 말씀드리겠다. 

 

Q3. 

- 클라우드 허브 관련해서, Report에서 사업성이 좋다고 들었는데, 기업의 On-premise환경이 있고 AWS나 AZURE같은 클라우드를 연결할 때 KINX 전용회선 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그게 맞는지, 그렇다면 이 또한 전송 규모가 커질수록 매출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구조인 것인지? 

A3. 

- 이해하신 내용이 맞다. KINX에는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가져다 놓은 통신 장비들이 있다. 대규모 공간이 필요해서 타 센터들에도 자신들의 클라우드 자원을 분산배치해놓는데, 그 센터들과 연결되있는 Network Point를 KINX 센터에 가져다 놓은 것. 그 이유는, KINX에는 국내 회선 사업자는 다 들어와있고, 해외 회선 사업자들도 회선들이 다양하게 들어와있기 때문에, 선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중립적) 

- (부가설명) 특히 해외고객은 Amazon을 필두로 MS, Google, IBM등, 국내는 네이버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Network Point 들을 가져다 놓았고, 여기 붙으면 클라우드를 '굉장히 빨리' '대량으로' 쓸 수 있다. 

- 예를 들어, Amazon에는 Amazon Direct Connect라는 자체 상품이 있는데, 이런 서비스를 기업이 받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KINX와 연결되어있어야 하는 것. (독점은 아니고 일부 LG에도 있긴 하다) 

- Cloud Hub 장비에 연결을 하면 Cloud도 빠르게 쓸 수 있고, 두개 이상의 클라우드를 동시에 쓸 수도 있고. KINX는 회선사업자들의 통신장비들과 다 연결을 해놓으니, KINX쪽에 붙으면 Direct Connect와 접촉이 가능한 것이고, 이에 해외사업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Q4.
- KINX내의 성장성이 제일 좋은 서비스라고 하셨는데, 그럼 Cloud Hub 매출의 규모가 어느정도인지? 

A4. 

- 신규고객도 계속 들어오고 있고, 분기당 매출은 8~9억 정도이다. 장기적으로는 더 증가할 것이고, 마진도 30~40% 정도로 꽤 높게 나올 것이고, 작년 동기 매출 대비 68% 증가했다. 그 쪽 담당하는 영업직원들은 정신이 없는 것 같다.

 

Q5.

- Cloud 완전전환과 Hybrid Cloud 중에 KINX 매출에 더 좋은 게 있는지?

A5.

- 그런 건 따로 있지 않다. 기업들도 대게 보면 중요하다 생각하는 Data Base는 On premise에 가지고 있고, 서비스 단의 것들을 Cloud에 돌리는 구조가 많다. 방식이 무엇이 되었든간에 Cloud를 쓰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고, 주변 일본이나 미국 Cloud 전환율을 보면 거기에 훨씬 못미치기 때문에 앞으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Q6.

- 그럼에도 최근에는 주가가 많이 내려가긴 했는데, 혹시 외부 투자자가가 모르는 내부적 요인이 있진 않은지? 

A6. 

- 없다. 작년 9천9백원까지 고점을 이뤘는데, 외국인 비중이 늘어난 것, 코로나로 언텍트주가 주목되면서 같이 주가가 올라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존의 성장 컨센서스를 외부에서 높게보다보니, 분기별 체크를 하는데 사실 KINX는 고객이 들어오고, 고객들이 쓰는 만큼의 돈을 매월마다 받는 구독서비스 비슷한 거라, 큰 변동성이 원래 없다. 그나마 연간 누적으로 보면 차이가 있는 정도. Internet 트레픽이나 산업 확장에 따라 매출규모가 증가하는 구조이다. 영업적 문제는 없고, 3~4분기도 괜찮을거라 생각된다.

 

Q7. 

- 과천 IDC 완공되었을 때의 매출은 어떻게 예상하는지?

A7. 

- 일단 완공되면 신규 센터의 30%는 채울 수 있도록 사전 영업을 하고 있다. 그렇게 채우지 못하면 계획 차질이 생기기도 하고, 유지보수비가 계속 들어가기 때문에 그렇게 될거라 보고있다. 

- 완공 되면 장점은 확장성으로 본다. 지금은 조금씩 데이터센터를 빌려서 조달을 해서 제공했는데, 한꺼번에 많은 공간을 요하는 고객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과천센터가 지어지면 그런 것들이 추가되면서 매출 성장폭이 커질 수 있다. 

 

통화 후 느낌은 BM은 달라지지 않았고, 외부의 기대와 실제 사업구조의 특성에 따른 실제 매출 괴리, 현재 지지부진한 국내장이 겹쳐서 많이 흐른것 같다 생각한다! 

728x90

1. 초기 투자 아이디어

ROE와 실적이 좋고, 온라인 쇼핑 시장의 증가에 따른 수혜를 받는 기업이라 생각했다.

그럼에도 쿠팡, 네이버쇼핑 등 다양한 이커머스 기업들보다 차별화된 경쟁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시장의 시선으로 저평가되있다고 판단하여 매수했었다. 실제 매출, 영업이익으로도 역성장이 없었고, 매년 PC, 모바일 접속자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3만원 내외에서 횡보중이던 다나와가 최근에 주가 상승이 있었다. 

상승은 '공시'가 뜨기 전에 있었는데 이런 정보 비대칭성은 항상 아쉬울 뿐이다. 

다나와 : 출처 네이버 증권정보

 

코스닥에서 '풍문또는보도'에 대한 조회공시요구를 요청했고, 

그 당일 다나와에서 답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보통의 기업이라면 '사실이아님' 정도로 답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생각보다 구체적이었다.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으며 NH투자증권주식회사를 자문사로 선정후 절차 진행중'이라 적혀있었다. 

 

다나와 자체도, 본인들이 현재의 시장 속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품은 것일까? 

매각 공시가 뜬 것이 아무튼 호재로 작용했는지 주가가 일부 상승했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벨류를 줄 수 있을지, 어떤 기업이 인수사로 선정될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이는 9월9일전까지 다시 공시가 된다고 하니, 확인해봐야겠다. 

 

2. 2분기 실적 공시

지난주에 2분기 실적이 떴는데 약간 아쉬운 실적을 내었다. 

다나와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출처 : DART)

사실 매출액은 마진이 적은 다나와컴퓨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많으니 다소 의미가 적을 순 있겠지만, 전년 반기 누계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감소가 있었다. 다행인것인지 당기순이익의 감소폭이 제일 적긴 하다. 

- 매출액 -16.29% 감소 

- 영업이익 -6.76% 감소

- 당기순이익 -1.42% 감소 

 

어디에서 매출 감소가 컸을까?

다나와 매출유형 별 실적 (출처 : DART) 

매출액 기준으로는 제휴쇼핑, 광고사업은 작은 상승이 있었고, 

판매수수료, 정보이용료, 상품매출, 제품매출 쪽에서 매출 하락이 발생하였다. 

 

우선 제휴쇼핑은 온라인 커머스 시장이 확대될수록 자연스레 Q가 증가하는 구조이고, 

작년에 코로나 효과로 인해 Q의 급격한 상승이 있었음에도 21년 소폭의 증가를 가져온 것은 긍정적으로 보여진다. 

 

광고사업 쪽도, '다나와로 유입되는 Traffic'이 확대될수록 증가하는 구조인데, 그래서 이부분의 성장도 긍정적이다. 

 

판매수수료는 다나와 마켓플레이스에 입점된 컴퓨터 전문 판매점이 소비자에게 PC판매하고 수수료를 지급받으면서 매출이 찍히고,

코로나로 재택 증가가 되면서 20년 컴퓨터 매출이 올랐을 것이고, 그의 기저효과에 따른 하락이지 않을까 추측된다. 

상품매출, 제품매출도 동일한 이슈이지 않을까 싶은데, 특히 다나와컴퓨터의 제품매출이 반토막으로 줄긴 했다. 

다나와컴퓨터는 국가 조달망인 나라장터에 등록되서 판매한다고 하는데, 국가, 공공쪽의 컴퓨터 수요가 줄었을까? 이부분은 확인이 필요하겠다. (사업보고서상, 연간 단가계약을 체결해서 판매가격 변동에 변수가 많지 않다고 하는데, 대수의 차이인걸까) 

 

매각되는 시점에 이런 분석이 어떤 의미일 수 있겠냐만은, 

결국 현재가치를 가지고 매각 금액을 정할것인데, 현재 분기매출이 떨어진것은 약간은 마이너스요소로 보여지긴 한다. 

728x90

1. 주가가 매력적인 구간으로 다가오는 중 

점점 주가가 매력적인 구간으로 다가오고 있다.

PER는 17수준으로, 언텍트 5G 이슈가 있기 전의 PER보다는 다소 높은 편이지만 많이 내려왔다.  

출처 : 네이버 증권정보

2. 그럼 왜 주가가 계속 하락할까? 

주가가 오르고 떨어지는데에는 정확한 이유가 존재하진 않는다.

다만 내 예상으로는 컨센서스에 하회하는 실적을 내었고, 언텍트 등에 따라 적정 가치보다 더 올라와있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조정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3. 실제 실적은?

8월 13일 2분기 실적 공시가 있었고, 21.1~6월(반기 누계 기준)

- 매출액은 12.96%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0.93%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7.11%의 감소가 있었다. 

- 매출액 증가를 영업이익이 따라오고 있지 못하다. 

케이아이엔엑스 잠정실적 (출처 : Dart) 

- 어느 부분에서 지출이 많았을까?

  - 재무제표를 확인해보니, 판관비는 오히려 매출액 대비 감소하였고, 

  - 매출원가는 누적 50억 정도 증가하면서 (매출원가/매출액)이 늘어났다. (21기 반기 53.1% → 22기 반기 59.3%) 

  - 매출원가는 어디에서 많이 늘어났는가?

케이아이엔엑스 분기보고서 

  - '외주비, 유지보수비'에서 약 23억의 증가가 있었다. 

  - 매출원가의 증가가 일시적인걸까 싶어서 시계열적인 추세를 확인해봤는데, 일시적이진 않다. 다행인건 판매비와 관리비가 계속 줄고 있다는 점.

  → 느낌상, 고마진인 IX(마진율 50%) 사업의 매출이 축소되고, IDC 사업 매출이 증가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이슈일 수 있을 것이고, 그만큼 매출액의 눈에 띄는 상승이 중요해보인다. 

 

4. 결론

그렇다고 투자 포인트가 사라지진 않았고, 앞으로 매출 증가는 필연적일 수 있을 것 같다. 

컨센서스 기대보다 매출 상승이 더딘 부분이 주가 하락을 가져다줬고, 이는 좋은 매수 포인트가 될 수 있을 것 같음. 3분기 실적을 기대해보자! 

728x90

18년에 발굴했던 종목이라 팔로업이라고 하기 애매하지만, 

팔로업은 보통 좀 더 가볍게 하기 때문에, 한번 종목발굴 폴더에 작성했던 종목은 여기에 작성하려고 한다. 

 

https://dailyeundongee.tistory.com/14?category=789088

위 글에 정리했듯이, 

코텍은 카지노 모니터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회사이다. 

 

그 당시에는 재무도 좋고 매출, 영업이익도 잘 나오는 회사라서 좋게 생각을 했었는데 하필 작년에 '코로나'가 터졌다. 

 

많은 회사들이 코로나에 매출 영향을 받았지만, 오히려 단기에 회복이 되고, 더 높은 수익을 내면서 

코로나 이전보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점점 올랐다. 

 

하지만.. 코텍은 아직 코로나 이전을 회복하지 못한 기업 중 하나이다. 

네이버 증권정보 

위에 차트를 보면 21.6월 백신 기대감, 백신으로 코로나를 이겼다는 나라들이 일부 등장하면서, 주가가 약간 올랐다가, 

델타변이 등으로 다시 주춤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우리나라는 아직 느리지만, 

일부 선진국들은 백신 접종률이 60%를 상회하면서 마스크를 벗는 일상을 되찾은 곳이 있다. 

 

출처 : 카지노 관련 기사 (연합뉴스)

실제 위에 기사를 보면, 미국의 올해 2분기 카지노업계가 역대 최고 실적을 냈다고 한다.

이제 슬슬 코텍을 매수해도 좋은 시기가 왔다는 생각이 든다. 

 

출처 네이버 증권정보

 

현재 재무제표를 보면 20.12월 기준 당기순이익 적자를 냈고, 올해도 사실 적자가 예상된다. 

하지만, 그런 적자를 감내 할 수 있을만큼 현금이 충분하며,

이전의 실적들을 볼 때, 코로나가 정상화되었을 때, 이전만큼의 당기순이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시총이 1589억원으로 19년처럼 308억의 당기순이익을 내게 된다면, 

PER가 5대가 되고, 어느정도 상승여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