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에서 신재생에너지 쪽을 보고 있다. 이에, 최근 상장한 일진하이솔루스를 한번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내용은 Dart 사업보고서와 유진투자증권 최근 리포트를 참고했다. 

 

1.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 수소사업(수소저장용기)와 환경사업(매연저감장치)을 영위하는 회사이다. 

 

[수소사업]

  -  현대차 넥쏘에 들어가는 고압수소용기를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23년에 출시예정인 넥쏘 차기모델도 공급 계약을 완료한 상태이다. 

  - 일진하이솔루스의 고압용기는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700bar의 압력을 견디는 탱크로, 수소차 원가의 약 20%수준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

  - Type4 고압용기인데, Type3 대비해서 높은 효율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해당 분야를 선도하는 제조사가 일진하이솔루스이다. 

  - 현대차에 독점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차의 수소차 점유율과 동일하게, 일진하이솔루스의 시장점유율은 69%로 높은 편이다.

  - 실제, 글로벌 완성차중에서는 현대차, 도요타, 혼다가 수소차 양산에 성공하였는데, 도요타는 자체적으로 수소용기를 공급하고 있고, 혼다는 Luxfer(캐나다)사의 Type3용기를 납품받고 있다. 

  - 현재는 수소연료전지 승용/상용차량의 비중이 높지만, 선박/트램/지게차/드론 등 수소연료전지를 채택하는 모빌리티가 증가하면서 각 분야별 수요 또한 증가할 것이라 한다. 

  - 추가적으로, 최근들어 전기차 우선 전략을 취했던 많은 완성차업체들이 전기차대비 장거리 운송 장점이 있는 수소차 부문에 실증 및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어서, 2~3년 후 수소전기 상용차 시장이 본격화될것이라 하고, 이 부분에 수혜를 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환경사업]

  - 고정비 감소를 통한 매출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매연저감장치를 외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다.

  - 자동차 크기에 따라 시장점유율이 다른데, 중형자연, 대형자연 등의 품목에서는 점유율이 1위이다.

  - 노후 경유차로부터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배출가스 관리를 위한 정부정책이 체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만큼, 해당 분야가 일진하이솔루스의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미세먼지 대응 예산은 해를 거듭할수록 증액되고 있으며,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관련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2. 매출현황은?

 

다트 제품 별 매출 현황

최근들어서 수소차 관련 탱크 매출 비중이 더 높아지고 있다. 

 

3. Valuation 

공모가는 34,300원이었는데 따상을 하면서 거의 주가가 90,000원으로 올라갔다. 

그러면서 PER가 166배로 정말 높이 올라갔다. 유진투자증권의 연간실적추정에 따르면 21년말 대비 25년말 당기순이익이 7배 성장하여, 현재 주가 기준 PER를 약 21로 기대하고 있다.

연간 실적 추정 : 출처 유진투자증권

 

4. 나의 결론

사실 미래에 성장이 더 커질것이라하더라도, 나에게 높은 PER는 항상 부담이 된다. 

수소차 시장이 앞으로 커질 것이고, 거기에서 계속 일진하이솔루스가 Key Player가 될 것이라 생각하면 

소량씩 매수하는 것은 나쁘지 않을 것 같지만, 신재생에너지 쪽을 보다보면, 해외 ETF 인 ICLN을 장기적으로 소액 매수하는 것이 나에게는 더 좋은 전략이 아닐까 싶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