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에서 메타버스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는데, 아직 명확히 정의내리기가 어려운 것 같다.
유튜브, 산업리포트 등을 참고했는데, 메타버스에 대한 내 요약 및 생각은 아래와 같다
- 현재의 메타버스는 유사 메타버스이지 완벽한 메타버스는 아니다.
-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생겨났을 때 메타버스의 조건은 아래 2가지. 하지만 두개에 해당되는 건 아직 없음
- 기계장치를 이용한 몰입감(ex. VR기기)이 있으면서
- 가상과 현실이 결합된 또 다른 세계여야 한다
-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생겨났을 때 메타버스의 조건은 아래 2가지. 하지만 두개에 해당되는 건 아직 없음
- 가장 빠르게 메타버스를 구현할 것으로 보여지는 기업은 Facebook이다.
- 메타버스 구현에 있어 필요한 요소 모두를 손대고 있기 때문 : 하드웨어 개발, 가상세계 구축, 이용자 확보
- VR 기기 오큘러스 퀘스트2
- 한분기에 110만대 팔렸고, 이는 아이폰 초기 팔려나간 속도와 비슷하다.
- But 많이 부족. 인간이 사물을 볼 때 해상도가 9000만픽셀, 컴퓨터1600만, 오큘러스 400만
- 가상현실 연구조직인 페이스북 리얼리티랩에 6천명이 넘는 인력 투입 (전체의 15%이상)
- 프로젝트 아리아 : AR 안경 개발 → 안경 하나만으로 몰입감을 높이는 스마트 글래스
- 근육 감지 팔찌 : 올 3월 공개. 뇌가 근육에 보내는 신호를 감지해 사람의 손동작을 읽어냄. 미세한 근육까지 조정하여. 가상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만듬 → 사람 몸 자체를 디바이스로 이용하는 것
- SNS 서비스 호라이즌 : 오큘러스 VR기기 착용. 먼 거리 친구와 아바타로 만나서 실감나게 대화 등
- 인피니트 오피스 : 가상 업무공간
- 암호화페 디엠 : 가상화폐와 현실화폐의 연결
- VR 기기 오큘러스 퀘스트2
- 메타버스 구현에 있어 필요한 요소 모두를 손대고 있기 때문 : 하드웨어 개발, 가상세계 구축, 이용자 확보
- 고민이 되는 점 : 메타버스로의 변화가 '필연적인가?' '좋은 방향인가?' 정말 30년에 그렇게 변화할까?
- 전기차로의 방향은 내연기관이 주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필연적이다.
-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에서 운전하지 않고 그 시간을 다른것을 하는데 보낼 수 있으니 좋은 방향이다.
- 메타버스는? 현재 Facebook은 개인정보이슈, 소셜미디어가 주는 악영향 등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 물론, 휴대폰 → 스마트폰으로, '우리가 원해서'라기 보다 테크기업에서 drive 거는 방향으로 생겨날 순 있겠다. '레디 플레이어 원'같은 세상을 우리는 바라고 있을까?
728x90
'재테크 >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신재생에너지 리포트 읽기 (이제 다시 바람과 태양의 계절) (0) | 2021.08.31 |
---|---|
#1. 신재생에너지 벨류체인 (유튜브 정리)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