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에서 메타버스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는데, 아직 명확히 정의내리기가 어려운 것 같다. 

유튜브, 산업리포트 등을 참고했는데, 메타버스에 대한 내 요약 및 생각은 아래와 같다 

 

  • 현재의 메타버스는 유사 메타버스이지 완벽한 메타버스는 아니다.
    •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생겨났을 때 메타버스의 조건은 아래 2가지. 하지만 두개에 해당되는 건 아직 없음
      • 기계장치를 이용한 몰입감(ex. VR기기)이 있으면서
      • 가상과 현실이 결합된 또 다른 세계여야 한다
    ⇒ 아직 완벽하게 구현한 회사가 없으니, 어떤 회사가 어떤 전략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보면 좋을 것
  • 가장 빠르게 메타버스를 구현할 것으로 보여지는 기업은 Facebook이다.
    • 메타버스 구현에 있어 필요한 요소 모두를 손대고 있기 때문 : 하드웨어 개발, 가상세계 구축, 이용자 확보
      • VR 기기 오큘러스 퀘스트2
        • 한분기에 110만대 팔렸고, 이는 아이폰 초기 팔려나간 속도와 비슷하다.
        • But 많이 부족. 인간이 사물을 볼 때 해상도가 9000만픽셀, 컴퓨터1600만, 오큘러스 400만
      • 가상현실 연구조직인 페이스북 리얼리티랩에 6천명이 넘는 인력 투입 (전체의 15%이상)
      • 프로젝트 아리아 : AR 안경 개발 → 안경 하나만으로 몰입감을 높이는 스마트 글래스
      • 근육 감지 팔찌 : 올 3월 공개. 뇌가 근육에 보내는 신호를 감지해 사람의 손동작을 읽어냄. 미세한 근육까지 조정하여. 가상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만듬 → 사람 몸 자체를 디바이스로 이용하는 것
      • SNS 서비스 호라이즌 : 오큘러스 VR기기 착용. 먼 거리 친구와 아바타로 만나서 실감나게 대화 등
      • 인피니트 오피스 : 가상 업무공간
      • 암호화페 디엠 : 가상화폐와 현실화폐의 연결
    ⇒ Facebook의 주커버크는 20년에 대중화될 수 없지만 2030년 안에는 가능할 것이라 말함. 아직 기술적으로 갈길이 멀다는 뜻
  • 고민이 되는 점 : 메타버스로의 변화가 '필연적인가?' '좋은 방향인가?' 정말 30년에 그렇게 변화할까?
    • 전기차로의 방향은 내연기관이 주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필연적이다.
    •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에서 운전하지 않고 그 시간을 다른것을 하는데 보낼 수 있으니 좋은 방향이다.
    • 메타버스는? 현재 Facebook은 개인정보이슈, 소셜미디어가 주는 악영향 등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 물론, 휴대폰 → 스마트폰으로, '우리가 원해서'라기 보다 테크기업에서 drive 거는 방향으로 생겨날 순 있겠다. '레디 플레이어 원'같은 세상을 우리는 바라고 있을까?
728x90

1. 올 3분기 실적

3분기 실적은 2분기때와 마찬가지로 전년 대비해서는 부진하다. 

- 3분기 누적 기준 전년대비 매출액 -10%, 영업이익 -5%, 당기순이익 -1.1%

작년 대비해서 부진한 이유는 크게 2가지

 

1) 다나와컴퓨터 2020년 코로나 수혜의 Base Effect

  - 다나와컴퓨터 영업이익이 20년에 코로나 덕에 급 상승했고, 그 추세를 21년에 이어가지 못한 탓으로 해석된다. 

  - 17~19년 대비 20년 영업이익이 약 45억 정도 상승했지만, 21년은 그렇지 못함

2) PC 부품가격 상승에 따른 판매수수료 사업의 부진

  - 우선 판매수수료는 다나와 마켓플레이스에 컴퓨터 전문 판매점들이 입점하여 소비자에게 PC를 판매하고 판매가 완료되었을 대 판매수수료를 다나와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매출이 나오는데 그 부분이 줄어들었다. 

출처 : 다나와 사업보고서

  - PC 부품가격이 상승한 것은 많이들 아는 내용일텐데, 어쨌든 이로 인해 중소 PC업계가 신제품 출시를 포기하기도 하고, 매출이 많이 안나오니 그에 따른 판매수수료 매출도 감소했다고 판단된다. (https://m.etnews.com/20211018000203

 => 우선 올해 4분기도 비슷한 실적을 보일거라 예상됨 (전년 영익/ 당기순이익을 넘진 못할 것) 

2. 앞으로는? 22년 실적은?

다나와를 꾸준히 팔로업해주는 정홍식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22년은 21년보다 좋을 것이라 하며, 그에 대한 이유는 크게 3가지이다. 

1) 본질인 '트래픽'이 꾸준히 상승중이다

  - 이부분에 대해서는 3분기 사업보고서를 보면 과거보다 상승폭이 줄었고, 페이지뷰나 체류시간은 더 줄었음이 확인되어서, 이부분이 긍정적이라고 느껴지진 않는다. 

2) 코로나로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진다

3) 내년 PC부품 하락 가능성이 있어 판매수수료 성장이 기대된다. 

  - 이부분도 여러 자료를 검색해보면 PC 부품이 하락할거라는 자료가 많진 않았다.

3. 내 생각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다나와의 불확실성(매각은 어떻게되나, PC부품의 가격은 과연 낮아질것인가?, 트래픽은 그렇게 많이 상승하고 있지 않다), 앞으로의 성장에 대한 트리거가 미약해서(다나와보다 더 좋은 기업이 많을거라 생각), 추가매입은 하지 않을 계획이고, 매각 완료까지는 들고 있는 주식을 Hold할 예정이다. 

728x90

동국제약은 최근에 계속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2분기 실적상 OTC 영업이익 하락이 있었다. (코로나 또는 인사돌 가격인상에 대한 기저효과)

물론 요근래 장이 좋진 않지만,, 

9월 초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애널리스트 리포트가 있어서 한번 살펴보았다.

 

동국제약.. 주가 하락중 

동국제약을 분석했을 때의 투자 포인트는,

안정적인 OTC 매출을 기반으로 ETC와 헬스케어 등의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역성장이 없다는 점이었다. 

펀더멘털도 우수하고, OTC 외 분야의 매출 성장률도 꽤나 돋보였었다. 

 

우선 리포트의 결론은 하반기는 별로고, 22년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하반기 이익감소는 "연결대상 자회사 동국생명과학 공장이전에 따른 비용 발생"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동국생명과학은 국내 M/S 1위의 조영제 생산 및 의료기기 판매회사인데, 조영제 완제공장 목적으로 인수한 바이엘의 안성 공장의 생산시설을 이전하고, 조영제 완제품 생산 허가와 관련된 비용이 21년 2~4분기에 발생이 있다고 한다. 

일시적 비용이기 때문에 그 이후의 분기에 조영제 생산시설 효율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확대되고,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이 오를 거라고 이야기 한다.

 

아래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의 증가에 비해 매출원가나 판관비가 더 큰 증가가 있었어서 영업이익의 정체가 있던 것으로, 

1회성 비용이 사라지면 이익 회복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동국제약 IR자료 

 

 

단기적인 Trigger가 없기도 하고, 자회사 비용이슈뿐 아니라, 마진율 높은 OTC의 이익 역성장도 하나의 저평가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투자아이디어가 없어진 건 아니라 생각한다. 

어쨌든 공장이전은 1회성 비용이고, 이 회사는 최근 10년간 매출의 역성장이 없었던 기업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게 좋을 것 같다. 

동국제약 매출액 추이 -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