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은 최근에 계속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2분기 실적상 OTC 영업이익 하락이 있었다. (코로나 또는 인사돌 가격인상에 대한 기저효과)

물론 요근래 장이 좋진 않지만,, 

9월 초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애널리스트 리포트가 있어서 한번 살펴보았다.

 

동국제약.. 주가 하락중 

동국제약을 분석했을 때의 투자 포인트는,

안정적인 OTC 매출을 기반으로 ETC와 헬스케어 등의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역성장이 없다는 점이었다. 

펀더멘털도 우수하고, OTC 외 분야의 매출 성장률도 꽤나 돋보였었다. 

 

우선 리포트의 결론은 하반기는 별로고, 22년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하반기 이익감소는 "연결대상 자회사 동국생명과학 공장이전에 따른 비용 발생"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동국생명과학은 국내 M/S 1위의 조영제 생산 및 의료기기 판매회사인데, 조영제 완제공장 목적으로 인수한 바이엘의 안성 공장의 생산시설을 이전하고, 조영제 완제품 생산 허가와 관련된 비용이 21년 2~4분기에 발생이 있다고 한다. 

일시적 비용이기 때문에 그 이후의 분기에 조영제 생산시설 효율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확대되고,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이 오를 거라고 이야기 한다.

 

아래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의 증가에 비해 매출원가나 판관비가 더 큰 증가가 있었어서 영업이익의 정체가 있던 것으로, 

1회성 비용이 사라지면 이익 회복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동국제약 IR자료 

 

 

단기적인 Trigger가 없기도 하고, 자회사 비용이슈뿐 아니라, 마진율 높은 OTC의 이익 역성장도 하나의 저평가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투자아이디어가 없어진 건 아니라 생각한다. 

어쨌든 공장이전은 1회성 비용이고, 이 회사는 최근 10년간 매출의 역성장이 없었던 기업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게 좋을 것 같다. 

동국제약 매출액 추이 -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728x90

1. 종목 분석 계기

- 주식 분석 스터디에서 한 분이 소개해준 종목

- 코로나 블루로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마음에 관한 병도 묻어놓는 것이 아니라 치료해야한다는 인식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생각함

- 실제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는, 오히려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듯이, 마음이 아플 때 병원에 가는 것이 당연시 여겨지고 있음

- 중장기 메가트렌드 관점에서 나쁘지 않은 종목이라 생각

 

2.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 정신건강용제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회사로, 국내 정신치료 약물시장의 점유율 1위 기업이다. 

(1)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정신신경용제 외 다른 품목도 있지만 비중은 미미한 편이다. 

  - 정신신경용제는 크게 조현병 치료와 항우울제로 구분되는데 매출은 조현병 치료제가 높지만, 성장은 항우울제가 높다고 한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출처 : DART)

(2) 원재료, 생산능력

  - 원재료 가격은 대체로 더 낮아지는 추세를 가지고 있다. 

주요 원재료 등 가격 번동 추이 (출처 : DART)

  - 생산 능력이 늘었는데, 공장도 추가로 지은건가? 가동률은 90% 수준이다. 

생산 능력 

(3) 실적현황 

  - 아래 표는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 정홍식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리포트에 있는 내용이다. 

  - 근 4년간 매출액의 역성장은 없었지만, 영업이익은 다소 증감이 있었다. 의약품은 정부 정책에 따른 약가인하 이슈가 있는데 그부분에 의한 하락이지 않을까 싶다. 

  - 그래도 매출액 기준 정신신경용제 부분의 역성장은 없었다. 

  - 코로나 블루로 관련 질환 약이 이슈가 될거라 생각하긴 했지만, 사실 시장 증가는 생각보단 더딜 것 같은 느낌이다. 

환인제약 실적 현황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 특이한 점은 R&D 비용과 비중이 계속 늘어난다는 점. 실제 21년 반기 보고서를 보니, 비중이 11.6%로 더 늘어났다. 

R&D 비용, 비중 추이 (출처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포트) 

  - 연구개발 현황을 살펴보니 정신치료를 중점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순현금을 잘 내고 있고, 매출도 안정적으로 내고 있으니 그걸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모습으로 느껴진다. 

환인제약 연구개발 현황 (출처 : DART)

3. 고려해야 할 부분은?

  - (마이너스) 약가 인하 : 2년 마다 한 번씩은 있는 이벤트이기 때문에, P의 감소폭이 Q의 증가보다 높아진다면 영업이익의 역성장이 될 수 있다.

  - (중립) R&D 비용이 늘어남에 따라,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상승효과를 못보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미래의 이익이 될 수 있으니 이건 그렇게 안좋은 요소는 아니라 생각한다. 

  - 치매 관련 임상 : 2014년에 임상 통과가 있었고, 3상은 계속 진행 중인것 같은데, 팔로업이 필요하다. 

 

4. Valuation 

  - PER는 13~16을 움직이는 것 같은데, 현재 싸지도 비싸지도 않은 느낌이다. 

 

5. 결론 

  - 정신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 향후 Q가 늘어날 것이고, 그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좋은 회사로 보여진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