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은 최근에 계속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2분기 실적상 OTC 영업이익 하락이 있었다. (코로나 또는 인사돌 가격인상에 대한 기저효과)

물론 요근래 장이 좋진 않지만,, 

9월 초 이베스트투자증권 정홍식 애널리스트 리포트가 있어서 한번 살펴보았다.

 

동국제약.. 주가 하락중 

동국제약을 분석했을 때의 투자 포인트는,

안정적인 OTC 매출을 기반으로 ETC와 헬스케어 등의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역성장이 없다는 점이었다. 

펀더멘털도 우수하고, OTC 외 분야의 매출 성장률도 꽤나 돋보였었다. 

 

우선 리포트의 결론은 하반기는 별로고, 22년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하반기 이익감소는 "연결대상 자회사 동국생명과학 공장이전에 따른 비용 발생"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동국생명과학은 국내 M/S 1위의 조영제 생산 및 의료기기 판매회사인데, 조영제 완제공장 목적으로 인수한 바이엘의 안성 공장의 생산시설을 이전하고, 조영제 완제품 생산 허가와 관련된 비용이 21년 2~4분기에 발생이 있다고 한다. 

일시적 비용이기 때문에 그 이후의 분기에 조영제 생산시설 효율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확대되고,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이 오를 거라고 이야기 한다.

 

아래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의 증가에 비해 매출원가나 판관비가 더 큰 증가가 있었어서 영업이익의 정체가 있던 것으로, 

1회성 비용이 사라지면 이익 회복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동국제약 IR자료 

 

 

단기적인 Trigger가 없기도 하고, 자회사 비용이슈뿐 아니라, 마진율 높은 OTC의 이익 역성장도 하나의 저평가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투자아이디어가 없어진 건 아니라 생각한다. 

어쨌든 공장이전은 1회성 비용이고, 이 회사는 최근 10년간 매출의 역성장이 없었던 기업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게 좋을 것 같다. 

동국제약 매출액 추이 -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728x90

1. 종목 탐색의 기준은?

   - 펀터멘털이 우량하고 실적이 추세적으로 잘 오르는 기업

 

2.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1) 약을 만드는 회사 

  - 우리가 잘 아는 인사돌, 마데카솔을 파는 곳

매출 품목 유형 (출처 : 당사 사업보고서)

(2) 시장점유율 

   - 생산실적 기준으로 동국제약이 메인으로 판매하는 약의 점유율은 거의 1위인 편 

   - 피부질환 치료제의 경우 동화약품(후시딘 판매)이 점유율이 더 높은데 동국제약의 상승폭이 좋다. 

 

(3) 주요 제품의 가격 추이

   - 처방전이 필요없는 일반의약품 가격에 대한 결정은 정부에서 하고 있지 않음

   - 20년 8월 1일 이후 인사돌 공급가격 7% 인상했음 

 

(4) 판매상품의 매출비중 

   - 19년 기준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헬스케어의 비중은 1:1:1이었지만, 

   - 일반의약품 매출성장이 둔화된 편이고, 전문의약품, 헬스케어의 성장이 돋보이는 편 

   - 안정적인 사업(일반의약품)을 기반으로 꾸준히 사업다각화를 하는 모습이 좋아보임 

 

3.사업부(일반,전문,헬스케어)별 특징 

 

(1) 일반의약품 (OTC)

   - 안정적으로 꾸준히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꾸준히 브랜드 후보군 개발하고 있음 

 

(2) 전문의약품 (ETC) 

   - 수출, 내수 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전문의약품 매출 추이

 

(3) 헬스케어

   - CAGR 47.3%이고, 화장품, 생활건강 쪽의 매출 상승이 높음

   - 화장품은 마데카크림 센텔리안 24가 실적을 견인함 : 실제 마케팅 또한 성공적으로 잘했다는 평가를 받음 

   - 중국 위생허가를 기획득 하였고, 중국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21.1분기부터 사업 본격화한다고 했는데, 매출 어떻게 됬는진 확인이 필요함) 

   - 미국, 일본에서도 공격적 마케팅을 하고 있음 

 

---

총평으로는 안정적인 Cash-Flow(OTC)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성장모멘텀(ETC, 헬스케어)를 가진 회사라고 생각을 한다.

주관적인 SWOT정리 

 

주가가 올해는 지지부진한데, 

- 주가가 단기에 상승할만한 기회요인이 없었고, Value자체가 저평가 단계는 아니니까 횡보하는 느낌이다. 

- ETC와 수출 매출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좋은 OTC 매출 회복이 더디어, 예상보다 1,2분기 실적이 잘 나와주지 않았음

- 애널 리포트에 따르면, 실적이 잘나와주지 않은 요인으로는, 코로나19영향과, 2020년 하반기 가격인상에 따른 가수요 영향으로 보고있고 

- 3분기 4분기에는 실적 상승이 있을거라고 함. 지속적인 tracking 필요

728x90

'재테크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삼성바이오로직스 (1)  (0) 2021.08.08
#18. 다나와  (0) 2021.08.05
#16. 코미코  (0) 2021.07.25
#15. 시디즈  (0) 2021.07.23
#14. 코웰패션 로젠택배 인수에 대한 생각  (0) 2021.07.18

+ Recent posts